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CSS
- rowspan
- 크롬
- 제이쿼리
- 이미지
- jquery mobile
- entity
- publisher
- Object
- 제이쿼리모바일
- 레이어
- 퍼블리셔
- 한영변환
- UI개발
- JQM
- ie6버그
- nextSibling
- datatables.js
- 헤더고정
- 테이블
- HTML
- Scripting.FileSystemObject
- 더블마진
- ime-mode
- DataTable
- Front end 개발
- FRONT-END
- 사파리
- 셀렉트박스
- 하이브리드앱
- Today
- Total
느리게 걷기
vertical-align:baseline 본문
출처 : http://blog.naver.com/frui2store/20029196617
이딴걸 팁이랍시고 올리는게 우끼지만서도...
의외로 모르는 사람이 많더군요.
HTML에서 TD의 valign속성값이 top, middle, bottom밖에 없습니다.
하지만, CSS에서는 vertical-align값이
baseline, sub, super, top, text-top, middle, bottom, text-bottom 8가지가 되고
%와 px값으로도 정의할 수 있습니다.
아래는 각각
vertical-align : top, vertical-align : middle, vertical-align : bottom의 적용예입니다.
여기서 CSS적용의 난점이라면
top과 bottom에서 폼박스, 라디오, 체크박스, 셀렉트, 또는 조그만 이미지보다
12px 텍스트가 작기때문에 정렬감이 적어집니다.
그래서...대부분의 디자이너와 코더들은
vertical-align:top을 기본으로 하고서 각각의 TD에 padding-top값을 조정하는 방식을 택합니다.
디테일하게...꼼꼼하게...라는 명분하에
여러개의 class를 몇개씩 더 만들어야 하는 폐단이 생기게 됩니다.
1pixel 하나하나가지 디테일하게 정의하는 것을 유난히 좋아하는 웹 디자이너들도 많기에
이 방식이 가장 옳은 방식이라 여겨지기도 합니다.
흠...그러지말고...이 약 한번만 머거바!
vertical-align : baseline을 사용해보시라!
뭐가 다른가?
쉽게 말하면
vertical-align : top이 아님에도...TD의 모든 컨텐츠는 상단정렬합니다.
각각의 컨텐츠끼리는 하단정렬을 합니다.
어렵게 말하면
Block내에서는 상단을 기준으로 정렬을 하고
Block끼리의 컨텐츠끼리는 가장 큰 컨텐츠의 밑을 기준으로 정렬을 합니다.
만약,
폼박스의 높이를 작게 표현하기 좋아하는 디자이너라면 이대로 사용하고
폼박스의 높이를 원래 기준으로 표현하기 좋아하는 디자이너라면
텍스트의 line-height를 18pixel정도로 조정해주면 적당하게 텍스트가 위치하게 될 것입니다.
'CSS2/3' 카테고리의 다른 글
@media queries (0) | 2011.05.25 |
---|---|
ie6에서 PNG 사용하기 (0) | 2011.03.04 |
CSS bug fix (0) | 2011.03.04 |
CSS 핵 정리 (0) | 2011.03.04 |
IE 버전별 스타일 적용 (0) | 2010.11.01 |